[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 구조론
지대 및 지가 이론 1. 지대와 지가의 개념(1) 지대 : 일정 기간 개념, 유량(flow) 개념, 용익의 대가(토지 서비스의 대가)(2) 지가 : 일정 시점 개념, 저량(stock) 개념, 교환의 대가 지가 = 지대 / 이자율(할인율)지가는 지대에 비례하고, 이자율(할인율)에 반비례지가는 부동산 가치에 비례하고, 화폐가치에 반비례 2. 지대이론지대는 잉여(불로소득)인가 비용(생산비)인가에 대한 논쟁 -고전학파의 지대에 대한 견해 (리카르도, 튀넨): 지대는 잉여(불로소득), 농산물 가격(생산물 가격)이 지대에 영향을 미침, 토지를 노동/자본과 엄격히 구별, 토지의 자연적 특성(부동성, 부증성) 강조함-신고전학파의 지대에 대한 견해: 지대는 생산비(비용), 지대가 농산물 가격에 영향을 미침, 토지는 생산..
2025. 9. 20.
부동산 시장론
부동산 시장의 기능 및 특성 1. 완전 경쟁 시장의 조건과 성격1) 상품의 동질성, 수요자와 공급자의 다수, 일물일가 법칙 적용, 거래의 공개성, 시장 진입과 탈퇴의 자유, 완전한 정보, 수급 조절의 용이, 정보 비용 존재 x, 초과 이윤 x, 정상 이윤 존재2) 개별 기업은 시장 가격의 순응자임. 개별 기업의 공급 곡선은 한계 생산비 곡선이다. 개별 기업의 최적 생산량은 시장가격 곡선과 한계 생산비 곡선이 접하는 지점에서 결정됨. 2. 부동산 시장의 기능 (가격 기구, 자율적 기능)매매 교환 가능, 자원 배분 가능, 정보 제공 기능, 가격 형성 기능, 양과 질의 조절 기능, 토지 이용의 기능 (용도 결정 기능), 부지 경쟁 기능 3. 부동산 시장의 특성 (불완전 경쟁 시장 성질)1) 불완전 경쟁 시장 ..
2025. 9. 20.
토지 및 부동산의 특성
토지의 특성*토지의 자연적 특성(1) 영속성장기적 배려, 토지는 물리적 감가상각 배제, 소모를 전제로 하는 재생산 이론배제, 소유 이익(매매시장)과 이용 이익(임대시장) 분리, 부동산관리의 중요성, 가치 보존력 우수, 투자재로서 선호, 소득 이득과 자본이득 향유, 미래 편익을 현재화한 가치개념의 근거, 내구성으로 재고 시장형성, 토지는 가격이 하락해도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차후에 가격상승을 기대하여 매각을 미룰 수 있다. 가격 하락에 따른 공급감소가 비탄력적.(2) 인접성외부효과, 지역분석, 경제문제, 협력적 이용 필요,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수의 근거, 용도상의 대체 가능성으로 거래사례비교법의 근거(3) 부증성생산비 법칙 배제(토지는 원가방식으로 감정평가 곤란) - 토지는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라 생산원..
2025. 9. 17.
부동산 및 토지의 분류
부동산의 분류 토지의 용어 (1) 감정평가 상 토지의 용도별 분류 택지 지역 : 주택지역 / 상업지역 / 공업지역 농지 지역 : 전지 지역 / 답지 지역 / 과수원 지역 임지 지역 : 용재림 지역 / 신탄 림 지역 (2) 택지, 지목 대, 건축법상의 대지, 부지 택지 : 지상에 건축물이 있거나 건축물을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조성된 토지를 말한다. 즉,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거나 이용할 목적으로 조성된 토지를 말한다. 지목 대 : 영구적 건축물 중 주거, 사무실, 점포와 박물관, 극장, 미술관 등 문화시설의 부지를 말한다. 건축법상의 대지 : 건축법에 의해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토지를 말한다. 부지 : 어떤 일정한 용도에 제공되는 토지를 말하며, 건축이 가능한 건축용지(택..
2025. 9. 16.